항공승무원이 알아야 할 우주방사선 이야기

❑ 방사선이란
자연방사선은 동식물, 지표, 암석, 우주 등 자연에서 나오는 것으로, 대한민국 국민은 평균
3.08mSv의 방사선량을 노출되며, 생활주변방사선 안전관리법(생방법)에 의해 관리되며,
인공방사선은 산업, 의학적 목적 등으로 만들어 낸 것으로 엄격한 법에 따라 안전 규제
대상이다. 자연이든, 인공이든 근원에 따라 구별하고 있지만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똑 같다.
❑ 우주방사선이란
자연방사선의 일종이며, 은하우주방사선(GCR)은 초신성 폭발 등과 같이 은하 전체에서쏟아지고 있는 방사선이며, 태양우주방사선(SCR)은 태양 흑점 폭발, 코로나물질 방출 등과 같이 태양 활동변화에 의해 발생한다..
❑ 항공기 고도와 위도에 따른 우주방사선량
➭ 고도 ⇪ 방사선량 ⇪
➭ 극 지방 피폭선량 ❯적도 지방 피폭선량
➭ 적도 지역 피폭선량 10%/km ⇪, 극 지역 피폭선량 25%/km ⇪
❑ 방사선이 위험한 이유
❑ 우주방사선 조사 및 분석(생방법 시행령 제 10조)
➭ 우주방사선 피폭 방사선량 예측 평가 프로그램
구분 |
CARI-6M |
NAIRAS |
EPCARD |
JISCARD |
SIEVERT |
KREAM |
개발 |
미국 |
미국 |
독일 |
일본 |
프랑스 |
한국 |
적용 |
GCR |
GCR |
GCR |
GCR |
GCR, SCR |
GCR |
➭ 우리나라 항공사는 CARI-6M(대한항공 운영)을 주로 사용, 일부 LCC 항공사는 NAIRAS 사용
➭ GCR(은하우주방사선), SCR(태양우주방사선)을 고려하는 프로그램 필요
❑ 항공 승무원의 우주방사선 선량한도
➭ 관련 근거
• 생활주변 방사선 안전관리법 시행령 제 10조
• 국토부 고시, 승무원에 대한 우주방사선 안전관리 규정 제 4조
➭ 연간 50mSv, 매 5년간 100mSv (평균 20mSv) 이하(유럽, 미국 동일 기준 적용)
단, 임신 승무원 2mSv(대한항공 1mSv)
➭ 승무원의 피폭선량은 연평균 선량한도(20mSv)의 30%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.
즉, 6mSV 권고(유럽 동일, 일본 5mSv)
➭ 일반인의 연간 허용 선량한도는 1mSv임.
❑ 항공 승무원과 방사선 작업종사자간 피폭량 비교(한국원자력안전재단, 2013년)
구분 |
일반산업체 |
방사선투과검사 |
의료기관 |
원자력발전소 |
대한항공 |
피폭선량 |
0.10mSv |
1.02mSv |
0.41mSv |
0.51mSv |
2.65mSv |
❑ 2018년 대한항공 승무원 피폭 선량(mSv)
구분 |
운항 승무원 |
객실 승무원 |
최고 |
5.65 mSv |
5.39 mSv |
평균 |
2.32 mSv |
2.97 mSv |
➭ 매년 운항/객실 승무원 평균 피폭선량의 최고 및 평균 피폭선량이 모두 증가 경향.
❑ 승무원 피폭선량 분포도
구 분 |
2016년 |
2017년 |
2018년 |
|||
운항 |
객실 |
운항 |
객실 |
운항 |
객실 |
|
1 mSv이하 |
30.7% |
9.6% |
30% |
9.9% |
31% |
14% |
1 ~ 3 mSv |
34.2% |
31% |
31.7% |
25.2% |
24% |
20% |
3 ~ 5 mSv |
34.4% |
59.4% |
35.4% |
64.9% |
42% |
65.99% |
5 mSv초과 |
0.7%(21명) |
2.9%(84명) |
3%(88명) |
0.01%(4명) |
➭ 운항승무원은 기종별 차이가 크며 일부 대형기 기종에서 5mSv 초과하는 승무원이
증가하는 추세이므로 적극적인 저감 조치가 필요.
➭ 객실승무원은 승무원의 부족으로 비행시간의 증가함에 피폭선량이 증가.
➭ 최근 5mSv 초과 인원(16년 21명, 17명 84명, 18년 92명) 증가 추세임.
특히, 객실승무원이 최초로 4명 초과됨.
❑ 2018년 주요 노선 피폭선량(왕복 기준) 단위mSv
구 분 |
JFK |
LAX |
LHR |
SYD |
BKK |
평균 피폭선량 |
0.174 |
0.107 |
0.129 |
0.056 |
0.024 |
➭ 고위도(북위 50도 이상), 고고도 비행(8km 이상)시 피폭선량 증가함.
❑ 국토부 최근 우주방사선 실측 결과(2018년 12월) 단위mSv
구분 |
실측 평균 |
CARI-6M |
KREAM |
비 고 |
인천-앵커리지 |
44.25 |
31(70%) |
34.12(77%) |
OZ 화물기 |
앵커리지-뉴욕 |
54.16 |
34(63%) |
47.76(88%) |
OZ 화물기 |
뉴욕-인천 |
80.86 |
73.2(91%) |
80.21(99%) |
KE 화물기 |
➭ 예측 평가 프로그램 결과, 실측 대비 CARI -6M(75%), KREAM(88%) 측정됨.
➭ KREAM 모델이 태양우주방사선을 고려한 결과 가장 일치한다는 전문가 의견